YTN은 인천 검단신도시에서 건설 중인 일부 단지 아파트에서 외벽 철근이 대량 누락된 문제를 연속 보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 4월 지하주차장이 무너졌던 검단신도시의 다른 단지의 구조설계를 맡은 업체가 여기서도 설계를 담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외벽 철근 누락 위험성을 LH에 처음 알리고, 전면 재시공을 주장한 감리단장은 교체까지 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박정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송파구에 있는 A 설계업체. <br /> <br />건물의 하중 등을 계산해 기둥과 벽 같은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설계 전문 업체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 지하주차장이 무너진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 과정에서 구조설계 업무를 담당했고 지붕을 떠받치는 기둥 32개 가운데 15개에서 보강 철근이 빠진 게 붕괴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같은 업체가 구조설계를 맡은 인근 다른 단지에서 건물 외벽 철근이 누락된 사실이 이번에 새로 드러난 겁니다. <br /> <br />YTN이 입수한 설계도면을 보면, 철근은 설계 단계부터 필요한 양보다 훨씬 적게 넣는 것으로 돼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LH와 업체 측은 철근이 얼마나 필요한지 계산하는 과정에서 숫자를 실수로 잘못 적어 넣은 거라고 해명합니다. <br /> <br />원래 12.96㎠가 들어가야 하는 수직 철근을 3.57㎠로, 9.51㎠가 필요한 수평 철근도 3.57㎠로 오기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시공사인 동부건설은 설계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은 채 설계도면에 적힌 대로 시공한 만큼, 문제가 있다는 걸 알아채기는 어려웠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LH는 해당 시공 현장에서도 철근이 빠졌다는 걸, 철근 누락과 그에 따른 주차장 붕괴로 한창 여론의 뭇매를 맞던 지난 6월에야 인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감리단장에게 처음 들어 알게 된 건데, 이후 대응에서도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수차례 소집된 대책회의에서 감리단장은 안전성을 완전하게 보장하려면 문제가 되는 부분을 해체하고 처음부터 다시 지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LH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, 이미 세운 기둥에 모자란 철근을 추가로 덧대 보강하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검단신도시 아파트 현장 전 감리단장 : 다시 해체하고 콘크리트 타설했을 때 누구도 그 방법에 대해 시비 걸 사람은 없었거든요. LH가 제시하는 증타 공법에 대해선 관계 기술자도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고, 나중에 입주자들이 알게 되거나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정현 (miaint312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92519220541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